일단 ErrorCode enum 클래스에 상태 코드를 적용시켜주고 private final int status를 넣어줍니다
ErrorResponse 클래스에 생성자를 만들고 방금만든 ErrorCode를 파라미터 값에 넣어줍니다
ErrorCode enum 클래스에 해당되는 같은이름으로 클래스를 지어주고 extends 로 에러 종류를 골라줍니다
여기서는 웹 로직 실행중에 일어날수있는 에러를 처리하는 부분이라서 Runtime Exception으로 처리하였습니다!
그다음 GlobalExceptionHandler 에
어노테이션 @ExceptionHandler 를 넣고 에러처리 {클래스이름} .class 값을 넣어줍니다!
여기서 리턴타입과 메서드는 저희가 ResponseEntity를 사용했기 때문에 이렇게 반환을 하게 매서드를 만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에러코드를 throw new로 던져줍니다.
이렇게 되면 클라이언트 부분에서 catch 부분으로 에러 코드를 잡아 값을 alret 로 띄워주는 등 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Stack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관계 데이터 베이스 삭제 시 참조키 관련 주의 사항 (0) | 2022.07.12 |
---|---|
Entity table 에 @setter 쓰지않기 + 대처방안 (0) | 2022.07.12 |
ERD 구조와 데이터 처리를 위한 Arraylist 활용 - 마켓컬리 클론코딩 (0) | 2022.06.27 |
미니프로젝트 에러해결 @NoArgsConstructor (0) | 2022.06.13 |
인텔리제이 브레이크포인트와 디버거를 통해 오류 해결하기 (0) | 2022.06.06 |